■ 정보 전송회선 : 신호를 변환시켜 주는 장치
■DTE : 컴퓨터 내부 안에 있는 장치들 간의 연결 및 통신이라고 생각하자.
■ 한마디로 [컴퓨터 - 컴퓨터] 간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말한다.
■ 신호변환 기능 :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/ 디지털을 아날로그로
■ 정리
-A컴퓨터 내부에서 A장치들끼리 데이를 처리한다.
-그걸 A-DCE로 넘긴다. 그리고 다른 컴퓨터의 B-DCE로 통신한다.
-받은 B컴퓨터 내의 DTE가 데이터를 처리한다.
■ OSI :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접속을 위한 표준 지침. (한마디로 다른 기계들끼리도 통신가능하게 만드는 기준, 규칙이다.)
■ n계층 : 각 7개의 계층 모두를 말한 것. (그냥 여기서는 n계층으로 말함)
■ 위의 동그라미 부분만 뜻하는게 아님. 그 선 흐름 전체를 말함.
■ 실선(붉은색 동그라미) : 물리적인 흐름
■ 점선(녹색 동그라미) : 논리적인 흐름
■ 응용 지향 계층 : 7응용, 6표현, 5세션
■ 전송 계층 : 4전송
■ 네트워크 의존 계층 : 3네트워크, 2데이터링크, 1물리
■ 위에서 봤던 3개의 큰 계층을 도식화 한 것.
■ 7층에서 데이터를 아래로 내려보냄.
■ 내려갈 때 마다, 데이터에 헤더를 씌움. 이걸 '캡슐화'라고 함.
■ 1층에 도착! 그러면 보내
■ 받은 사람은? 1층에 도착. 그리고 층을 올라갈떄 마다 헤더를 일단 벗겨!(캡슐해제) 그리고 위로 보내! (7층으로!)
■ 중요하게 봐야할 건, 보낼 때는 각 층마다 헤더를 씌운다. 즉 각 층마다 뭔가를 붙인다! h1, h2, h3 등
■ 그리고 도착하면 반대로 h1, h2, h3 등을 벗겨낸다.
■ h7(데이터의 뒤쪽에 붙음)은 헤더정보를 뒤에 붙인다.
■ 1물리 계층 : 그냥 진짜로 물리적으로 연결! 랜선 꽂기
■ 2데이터링크 계층 : 전송/오류 제어
■ 3네트워크 계층 : 경로 설정 (어디로 보낼래?)
■ 4전송 계층 : 오류 검출, 회복
■ 5세션 계층 : 전송과 방향, 절차 확인
■ 6표현 계층 : 상대 프로그램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자료 구조
■ 7응용 계층 : 파일 전송 등을 위한 프로토콜
■ 1물리 계층에 관한 얘기
■ 비트열 데이터(0,1로 구성된 데이터)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.
■ 접속 규격, 전송방식 등을 결정
■ 한마디로 송신은 0,1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
■ 수신측은 전기 신호를 0,1로 다시 복구시켜 윗층으로 보
■ 1층의 프로토콜 규정
■ 다만 장비들 간의 규격은 각 국가가 결정함. 우리나라는 KS
■ V :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을 베이스. 기존 전화망을 이용
■ X :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베이스. 디지털 데이터 망을 이용
■ 1층 물리계층 프로토콜의 4가지 특성 (아래 사진까지 포함)
■ 한마디로 기계적(핀 규격 크기는?) 과 전기적(전압 어떻게?) 할건지 정한 것.
■ 기능적 특성 : 기계적 특징인 핀에도 각 역할을 부여함. 핀이 6개다. 그러면 1번핀 역할, 2번핀 역할 등 기능적으로 나눔
■ 절차적 특성 : 손 꼽고 전원키면, 시스템이 절차를 시작함. 이 과정을 말함.
■ 2계층 데이터 링크
■ 데이터 링크계층: 두 시스템 사이에서 오류 없이 정보 데이터 전송하는 역할
■ 흐름제어, 오류제어
■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데 중간에 거치는 도시들이 있듯이, 데이터도 중간중간 거치는 곳이 있다. 라우터 같은곳. 그러한 지점 (노드) 들을 말함. 이걸 데이터링크 계층이 해줌.
■ 송신측에서는 발신지,목적지 주소를 헤더정보로 붙임
■ 전송제어 : 어. 거기 있어? 주소 여기 맞지? 당신이 김철수씨 맞죠?
■ 1. 회선 접속 : 계세요?
■ 2. 데이터 링크 설정 : 맞으시네 김철수씨
■ 3. 정보 전송 : 자 여기 소포요.
■ 4. 데이터 링크 해제 : 저 가볼게요. ㅂㅂ
■ 5. 회선 절단 : 집 문 닫음.
■ 흐름제어 : 우리집은 5G(빠름) 인터넷, 근데 철수집은 100M(느림) 인터넷이네? 아 처리속도가 너무 다르네. 그럼 내가 100M로 맞춰줄게 철수야.
■ 오류제어 : 물리계층에서는 오류 여부를 모르니까, 내가 체크해줘야해!
■ 동기식 : 실시간으로 데이터 받을 때
■ 비동기식 : 위와 반대.
■ 3계층 네트워크에 대해
- 네트워크계층: 통신 노드에서 다양한 경로 설정
- IP / ICMP / ARP / RARP 등을 기억해두자.
■ 경로배정: 어디로 갈래?
■ 3층도 흐름제어를 한다.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게끔 흐름을 제어해줌
■ 순서제어 : 어? 데이터 순서가 엉망이네? 순서를 내가 정리해줄게.
■ 4계층에 전송계층 대해서
- 전송계층: 데이터 전송의 종단간의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신뢰성을 제어하는 기능
- TCP / UDP 를 기억하자.
■ 전송 계층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
■ 세션계층 :
-5층이다. 송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을 확립하는 기능이 주된 기능.
- 세션계층: 송수신 프로세스간의 연결 확립/ 해제기능, 동기점 표시기능
- 프로세스간의 대화제어 및 동기점을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복구를 제공하는 계층
■ 표현계층 : 6층이다.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건가? 이미지? 소리? 암호화or복호화 등
■ 응용 계층 : 7층이다. 우리가 쓰는 모든 서비스들을 말함.
■ 적용 범위 : 국제급? 아니면 국가급? 아니면 우리 회사 정도 크기에서?
■ 표준 규정 : 어떠한 목적에 따라 규정을?
■ 적용 방법 : 강제? 아니면 그냥 이렇게 권고할 정도?
■ 초안 연구 개발 > 초안에 대해 의견 조정 > 조정된 의견을 또 개량하며 개발 > 수정,보완,폐기
■ ISO에 대해
■ISO가 만든 OSI 기억하자!
■IEC에 대해
■ ITU-T에 대해
■ 옛날에는 CCITT 였음.
■ ANSI에 대해
■EIA에 대해 : RS-232C가 대표적
■ IEEE에 대해 : LAN 표준
■ CEN/CENELEC에 대해
■ ECMA 에 대해
■ AFNOR 에 대해
■ BSI에 대해
■ DIN에 대해
■ JISC에 대해
■ 국내 표준안 기구에 대해
■ 간단하게 맛보기로만 기억해두자. 나중에 중요하게 나옴.
■ RS-232C : DTE와 DCE를 접속하기 위한 규격. 미국 EIA가 만
■ ICMP : 오류에 관한 처리 프로토
■ ARP : 네트워크 주소 를 물리주소로
■ RARP :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.
학습정리
1. 통신 시스템의 구성
[정보 전송 시스템] + [정보 처리 시스템]
[정보 처리 시스템] → 데이터 처리계
- 컴퓨터: 중앙 처리 장치, 주변 장치로 구성
[정보 전송 시스템] → 데이터 전송계(DTE: 컴퓨터 단말 장치, DCE:데이터 통신 장치)
- 단말장치
- 데이터 전송 장치: 신호 변환 장치, 통신 회선
- 통신제어장치
2. 개방형 시스템과 OSI 참조 모델
- ISO(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Organization)와 IEC(International Electro-technical Commission)의 합동 후원 위원회인 JTC1(Joint Technical Committee One)에서 1977년부터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1983년에 공식적으로 표준화하여 발표한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한 표준 지침이다.
- 네트워크를 7계층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계층별로 기능과 프로토콜에 대해서 규정해 두었다.
프로토콜(Protocol)
- 여러 계층으로 나눠진 네트워크에서 똑같은 계층끼리 사용하는 표준화된 규약
3. 표준안 및 제정 기관
- 국제 표준화 기구(예: ISO, ITU), 지역 표준화 기구(예: 유럽은 ETSI, 미국은 CITEL), 국가 표준화 기구(예: 미국은 ATIS와 TIA, 일본은 TTC와 ARIB, 한국은 TTA) 등이 있다.
-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규격을 개발하여 표준으로 제공한다.
- ISO 회원은 각국의 표준화 사업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하나의 나라당 하나의 기관만 인정한다.
'컴퓨터공학 > 정보통신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데이터의 부호화 (0) | 2024.06.12 |
---|---|
5. 데이터전송 방식 (1) | 2024.06.12 |
4. 물리 계층의 표준 인터페이스 (0) | 2024.06.01 |
3. 전송 매체 (0) | 2024.06.01 |
1. 정보통신의 정의와 통신 서비스 (0) | 2024.05.24 |